본문 바로가기

영화

the Shining - Stanley Kubrick (1980) ★★★



  아무도 없는 거대한 호텔의 caretaker로 겨울을 보내게 된 Jack과, Jack의 아내인 Wendy와 그 사이의 아들 Danny가 겪는 일이라고 짧게 줄거리를 요약할 수 있는 이 영화는 Steven King의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고 있지만, 스토리 자체는 완벽하지 않다. Jack이 미치게 되는 이유 ('All work and no play makes Jack a dull boy' 라는 인용구를 문자 그대로 수백개를 보여주었지만, 물 흐르듯이 완벽하게 들어맞는 이유는 아니라고 생각이 든다)나 흑인 요리사의 터무니 없는 죽음은 (흑인 요리사는 자신과 Danny가 Shining이라는 마음을 읽는 그런 초능력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리고, 극 중 계속 걱정하다가 탈 것만 제공한 뒤 죽는다) 개연성이나 흐름이 부자연스러워 보인다. 하지만, 스토리보다 이 영화는 음향 효과와 영상의 조화와 잭 니콜슨의 연기는 이 영화가 계속 회자되고 명작으로 뽑히는 이유 일 것이라고확신한다.


Storyline of "the Shining" which is based on Steven King's novel "the Shining". Jack and Jack's wife, Wendy, and Jack's son, Danny, happened to spend winter in empty and huge hotel as caretaker. Plot of this movie is not considered to be perfect. The movie explains the reason of Jack's growing insanity by showing literally thousands of repetitive proverb, "All work and no play makes Jack a dully boy", but still it lack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m. Black cook's ridiculously absurd death ( The role of the black cook in the movie is that to show himself and Danny have supernatural power called "shining" which is an ability to read one's mind or speak without opening mouth, and worrying about Jack's family; finally he gets in hotel but is murdered by Jack without doing anything but bring snowcat.) also shows lack of natural flow of the plot line. Granted this movie has flaw on story, but "the Shining" is still considered as masterpiece by its genius use of sound effects and outstanding act of Jack Nicolson who acted as Jack.


  이 영화 속에서 눈에 띄었던 점은 음향효과가 과도하다 싶을정도로 튄다는 점이다. 정말 아무 것도 아닌 장면에 섬뜩하고 괴기스러운 사운드를 넣는 것 만으로 공포감을 조성할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이라도 하듯 영화의 곳곳에서 음향과 영상이 전혀 조화롭지 않은 듯 하지만 그 둘의 이질감이 신선함을 만드는 것 같았다. 이 관점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장면은 Danny가 조그마한 자전거를 타고 호텔 이 곳 저 곳을 돌아다니다가 문제의 호텔 방 237호의 문고리를 돌리는 장면이다. 그 시점에 호텔 방 237호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려진 것은 없었지만 초반에 흑인 요리사가 미심쩍게 들어가지 말라고 이미 언급을 했기 때문에 237호가 영상에 나온다는 것 만으로도 긴장감을 조성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감독은 괴이한 음향을 아이가 237호에 도착하기 훨씬 전부터 틀고 가까워질 수록 고조시켜 문고리를 돌릴 때 쯤 음향효과는 증폭되고 더욱 더 괴기해진다.


Use of sound effects in this movie takes considerably important part. By inserting bizarre and unnerving sound to scene which is not fearful at all, Stanley succeeded to prove that fear can be built up by his unique means. Intentional match of unmatchable scene and sound effects brought the feeling of freshness. One of the scene that I was amazed was the scene that Danny rides small bicycle and wanders here and there in hotel, and hols knob of room 237. Room 237 is mentioned by black cook at the very beginning of the movie so that showing room 237 could be a source that brings tension, but Stanley Kubrick, by inserting ominous sound effects far before Danny arrives in front of the room, succeeds to magnify movie's tension astonishingly.



Danny가 자전거를 타고 호텔을 돌아다는 씬 Scene that Danny wandering around hotel

  


 

 이 영화는 일반적인 공포 영화처럼 갑자기 귀신 분장을 한 배우를 화면에 등장시켜서 놀래키는 영상적인 것에 집중하기 보단, 인간이 어떤 것에 두려움을 느끼는 지 정확하게 파악하고, 공포를 조성하기 위한 요소를 절제되면서도 부족하지 않게 넣었다. 그 덕분에 영화의 후반부 전체 각 씬마다 다른 종류의 공포는 마치 공포 종합 선물 세트 같은 느낌으로 각 씬마다 다른 공포를 느끼게 한다.


This movie is focused on the exact source of human fear and put those fear-bringing elements plentifully but not superfluously. This can be considered as distinctive facet of this movie to general horror movies which are too focused on frightening audience by showing dreadful ghosts. Fabulously controlled scenes in later part make audience feel higher level of horror.


  이 영화의 플롯을 이끌어가는 잭 니콜슨의 연기는 그가 왜 잭 니콜슨인지보여준다. 영화의 전반부와 중반부에서의 표정 자체도 어둡고 우울해 보이기까지 한다. 하지만, 후반부의 Wendy가 그가잭 니콜슨의 전반적인 분위기나 타자기로 'All work and no play makes Jack a dull boy' 라는 경구를 계속해서 써내려간 것을 본 뒤로, 그의 연기는 빛을 발한다. 광기에 휩싸인 중년 남성의 모습이 상당히 적나라하게 표현이 되었다. 이 영화에서 가장 유명한 도끼로 찍어낸 문에 얼굴을 껴서 자신의 아내를 찾는 그의 모습을 보고 있으면 내가 마치 그 화장실에 갇힌 듯이 간담이 서늘해진다.


  Jack Nicolson's act in this movie shows why he got such reputation he has now. Even before the later part of the movie, his vibe or mood is so depressed and dark. As story builds up, especially after Wendy reads his papers full of proverb, all work and no play makes Jack a dull boy, his act goes ham. He expressed extremely lunatic middle aged man so realistically that even audience can feel what Wendy feels. 


Jack이 화장실 문을 도끼로 부순 공간으로 얼굴을 내밀고 Wendy를 보는 장면 Sceme that Jack bash the bathroom door, and look Wendy through the crack


  


  이 영화의 후반부는 이 영화가 명화로 불리는 이유이며, 스탠리 큐브릭만의 연출력이 돋보이는 장면이지만, 스토리가 딱 맞아떨어지지 않는 느낌을 지울 수 가 없다. Jack은 미쳐가는 과정에서 아무도 없는 호텔에서 자신이 잘 아는 바텐더를 만나고, 파티에 참여해 과거에 자신의 두 딸과 아내를 죽였던 남자를 만난다. 이는 자연스럽게 Jack이 미쳐가는 과정에서 망상을 보는 것이라고  추론할 수 있다. 그 예로, Jack이 술을 마시며 바텐더와 얘기를 하다가 Wendy가 들어오자 바텐더는 물론이고 그가 가지고 있던 술 또한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스토리가 전개되면서 Wendy는 Jack을 식료품 창고에 가두지만, 뜬금 없이 파티에서 만난 남자가 밖에서 잠긴 문을 열어준다. 또한, 잊혀질만 할 때 쯤 나오는 피의 범람, 마지막에 클로즈 업 되는 과거의 호텔 사진에 등장하는 Jack, 망상을 보기 시작하는 Wendy, 아이의 상상 속의 친구 Tony의 존재 이유 등 불친절하게 설명하지 않은 영화의 컨셉들이 많다.



Late parts of "the Shining" makes "the Shining" masterpiece and shows brilliant directing ability of Stanley Kubrick, but still absurdity of story is not solved. Jack meets an intimate bartender and gets into party in empty hotel. By common sense, audience can easily concludes that all of the people he meets other than his family, liquor he drinks, and even money he gives to bartender are illusion. The absurdity stands out in the scene that Jack escapes from food storage by the aid of man who killed his family while he was caretaker of the hotel previously and met Jack during the party. flood of blood which are occasionally shown, Jack's picture closed up at the very last scene, and seeing illusion of Wendy, reason of endorsing imaginary friend, Tony, of Danny are also unexplained and absurd concepts endorsed in the Shining.


  이는 의도적으로 설명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의도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상식적으로 설명할 수 없고 말이 되지 않는 상황들을 의도적으로 연출하면서 관객들이 예측조차 할 수 없을 혼란을 만들어 냈다는 것이 나의 견해이다. 인간에게 가장 공포감을 줄 수 있는 상황은 전혀 예상되지 않는 미지의 상태이다. 예를 들어, 당신이 잠을 자고 일어났을 때 자신이 잠을 청했던 침대가 아니라 어둠으로 가득 찬 숲 속에서 깨어난다면 당신은 극한의 공포를 느낄 것이다.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도, 얼만큼의 시간이 지났는지도, 어떤 위험이 있는 지도 모른채, 자기 자신을 극한의 공포로 몰아 넣을 것이다. 감독은 의도적으로 상식으로 설명될 수 없는 요소들을 영화 속에 집어 넣어서 영화의 분위기를 더욱 더 공포스럽게 몰고 있다고 생각한다.



 This absurdities are intentionally endorsed. In my opinion, by intentionally not explaining abnormal events and supernatural conditions, Stanley Kubrick made chaos that audience cannot know what's going on and what will happen next. For instance, if one wakes up in the forests without slightest light not the bed one slept, he or she would feel extreme fear and anxiety. One will never know where one at and how much time has been flowed, but will going to drive oneself to more severe and extreme anxiety. Stanley Kubrick intentionally endorsing inexplicable factors in movie so that makes the movie's mood mystic and ominous in order to let audience experience the true horror.